CAST

사회적기업이 가진 물류에 대한 고민은 무엇일까?

by 김동준 기자

2018년 03월 23일

행복나래-CLO 주최 사회적기업을 위한 물류 워크숍, 지난 15일 개최

재고관리, 3PL 효율성 등 물류에 대한 고민 나눴던 ‘토크콘서트’

 

 

“각 기업이 가진 물류에 대한 문제를 물류로만 풀지 않았으면 좋겠다”

 

지난 15일 서울 중구 행복나래 본사에서 열린 ‘행복나래-CLO 물류 워크숍’에서 임우택 한그루물류경영연구소 대표가 한 말이다. 이번 워크숍은 인쇄・출판업종 사회적기업이 가진 물류에 대한 고민을 진단하고 그들의 ‘페인 포인트’(Pain Points)를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둔 자리였다.

 

워크숍에는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진 베어베터를 비롯해 서울시사회적기업협의회 등 10여 곳에서 11명의 인원이 참석했다. 이들에게 조언을 해줄 강사로는 임 대표와 송창훈 아비즈 대표, 박찬재 두손컴퍼니 대표가 나섰다.

 

워크숍은 크게 강연과 토크콘서트 등 두 파트로 꾸려졌다. 각 강사별로 준비한 주제에 맞춰 강의가 이뤄졌고 뒤이어 김철민 CLO 편집장 사회로 토크콘서트(Q&A)가 진행됐다. 이날 사회적기업의 참여 열기가 가장 높았던 순서는 바로 물류와 관련한 고민이 쏟아진 토크콘서트였다.

 

사회적기업의 ‘물류’ 고민은

 

토크콘서트에서 나온 인쇄・출판업종 사회적기업의 고민 중 하나는 바로 재고관리였다. 앞서 워크숍 참석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70%의 기업이 물류비를 계획적으로 편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질문자로 나선 신성호 네오누리콤 대표는 “현재는 물품 재고가 많지 않아서 대략적으로 재고를 정리하는 선에서 재고관리를 하고 있다”며 “품목이 늘어나거나 양이 늘어날 경우 재고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조언에 나선 임 대표는 재고관리는 기업의 물류 영역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프로세스라고 설명했다. 즉, 기업 내부적으로 기본적인 물류 프로세스가 잡혀 있어야 추후 자동화 설비나 시설투자를 하더라도 효율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말이다.

 

임 대표는 “기업에서 자동화 물류 시스템이나 시설 등을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기본적인 물류 프로세스를 잡아놓는 것”이라며 “프로세스를 잡기 이전에 장비나 시설투자부터 하려고 하는 강박관념이 있다면 일을 그르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잡고 기업을 운영하다보면 설비는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부분”이라고 부연했다.

 

 

3PL(3자 물류)을 이용하는 게 기업 입장에서 얼마나 효율적이냐는 질문도 나왔다. 장선정 노란들판 사무팀장은 “회사 내부적으로 물류라는 개념을 필요하다고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그러나 향후 회사의 물류적인 역량을 키워야 할 시기가 온다면 3PL을 이용하는 게 나은 것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 같은 질문에 박 대표는 기업이 성장을 목표로 한다면 특정 시점부터는 비용절감을 위해 3PL을 이용하는 게 좋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물류에 들어가는 인건비와 임차료 등 고정비를 외주화 함으로써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는 변동비로 전환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박 대표는 “3PL을 이용함에 있어 가장 큰 장점은 비용절감 측면에 있다”며 “고정비 부담이 큰 인건비나 임차료 등을 변동비로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물류에 역량을 쏟고 싶지 않은 기업이라면, 물류는 아웃소싱하고 집중하고 싶은 역량에 인력을 투입할 수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비교적 영세한 사회적기업 특성 상 공동물류를 정착시키는 것은 어떠냐는 제안도 나왔다. 하지만 시장에서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공동물류의 문제점을 꼬집은 임 대표는 “공간만 같이 쓰는 제한적 형태의 공동물류는 시장에 나타나는 것 같다”면서도 “제대로 된 솔루션이 나오기 위해선 제도권에서 움직여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람’ 향한 물류

 

이날 토크콘서트를 관통하는 주제는 사람이었다. 기업의 가치를 제공받는 고객을 향한 서비스의 중요성과 기업 내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목적성을 분명히 해야 좀 더 나은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조언이다.

 

워크숍에 참여한 사회적기업과 동일하게 인쇄・출판업종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아비즈의 송 대표는 “고객의 니즈를 어떻게 파악하느냐에 따라 지나칠 수 있는 부분을 캐치할 수 있다”며 “이러한 부분을 통해 (매출을 만들어 낸다면) 큰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편집장 역시 “최근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단순한 배송의 개념도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관점으로 변하는 추세”라며 “물류를 좀 더 서비스 지향적으로 접근해야 할 시기가 왔다”고 첨언했다.

 

 

임 대표는 기업 내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비전을 만들어 줘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관리자라고 하면 기업 내에서 일하는 현장 노동자들에게 줄 수 있는 메시지가 있어야 한다”며 “그렇게 되면 기업 내 물류 현장이 역동적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말했다.

 

고객, 프로세스, 아웃소싱

 

이번 워크숍을 통해 사회적기업이 가진 물류의 문제점을 진단한 각 강사들은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워크숍 이후 이와 관련한 질문을 강사들에게 던졌다. 이에 각 강사들은 기업이 물류에서의 허들을 넘고자 한다면 고객과 프로세스, 상황에 맞는 아웃소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송 대표는 “일례로 명함을 만든다고 치면, 명함은 대량생산을 해 놓고 물류창고에 맡길 수 없는 상품이고, 이는 모든 인쇄・출판업종에 해당되는 문제일 것”이라며 “주문 즉시 출고가 이뤄져야 하는 상품이라면 재고관리나 창고관리 측면보다는 배송 파트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선 강의와 동일하게 임 대표는 프로세스를 강조했다. 그는 “기업 내부의 물류 프로세스를 다진 뒤에 인소싱과 아웃소싱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게 순서상 옳다”며 “참여한 사회적기업 대부분이 규모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시설투자에 대한 고민이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프로세스”라고 답했다.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물류 아웃소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 대표는 “대다수 사회적기업이 자사물류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였다”며 “효율성 측면에서는 물류를 외주화 하는 게 맞지만 기업이 처한 상황에 따라 별도의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동준 기자

청와대 대변인실에서 인턴으로 일했다. 정치부/산업부 기자로도 일했다. 지금은 CLO에서 일하고 있다.




다음 읽을거리
추천 기사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