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T

[엄기자의 현장까대기] 직접물류 vs 아웃소싱, 무엇이 맞는가 묻는다면

by 엄지용 기자

2016년 03월 23일

엄기자의 현장까대기(열세번째 이야기)
쿠팡이냐 한진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전통적으로 물류는 아웃소싱을 기반으로 합니다. 소위 말하는 물류 서비스(3PL, Third Party Logistic) 업체의 경쟁력은 더욱 많은 화주의 물량을 유치하여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이를 통해 더욱 빠르고(Speedy), 안전하고(Safety), 정확한(Surely) 물류 서비스를 만드는 것에서 나타납니다. 물량이 늘어나면 고정된 비용 안에서 매출이 올라가기 때문에 당연히 물류업체의 수익은 증가합니다.
 
그러나 많은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에서 ‘3PL’ 비즈니스를 성공시키기는 매우 어렵다고 이야기 합니다. 이유야 많겠죠.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이유는 대기업(대화주) 중심으로 형성된 국내 산업구조입니다.
 
앞서 언급했듯 3PL업체는 많은 물량을 유치해야 돈을 벌고, 서비스를 고도화할 수 있습니다. 국내 산업 구조상 이러한 물량의 대부분은 현대자동차, LG전자, 삼성전자와 같은 몇몇 대화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이 기업들이 3PL업체를 이용했다면 물류학계가 이야기하는 건강한 물류 생태계가 탄생할 수 있었겠지요. 그러나 이러한 물량을 가진 업체들은 물류업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계열사 설립을 통해 물류를 내재화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이와 같은 업태를 2PL이라 하지요.
 
이러한 2PL기업은 대표적으로 현대자동차와 현대글로비스, LG전자와 범한판토스, 삼성전자와 삼성SDS, 삼성전자로지텍 등 많은 물류대기업과 계열 화주사의 관계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이 왜 이상적이라 불리는 3PL이 아닌 2PL을 사용할까요?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그들이 가진 물량은 많았고, 그것을 굳이 물류업체 아웃소싱을 통해 남 주는 일을 할 이유를 못 느꼈겠지요. 내부 거래를 통해 그룹사끼리 잘 먹고 잘 살면 되는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설립된 대기업 물류자회사들이 모든 물량을 직접처리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파트너사라 불리는 중소 물류업체에 재하청을 주는 구조가 탄생했습니다. 재밌는 일이지요.
 
쿠팡부터 배달의민족까지, 물류를 내재화한 이유
 
이렇듯 한국은 3PL물류기업보다 2PL물류기업(사실 2PL이라고는 하지만 이들 업체들이 외부 물량을 안 받고 내부 물량만 처리하는 것은 아닙니다. 내부 물량이 상당수일 뿐이지요.)이 잘 나가는 재밌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물류는 3PL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특히나 작은 회사 같은 경우는 대부분의 경우 물류를 굳이 직접 통제할 이유가 없습니다. 대표적으로 ‘택배’만 살펴보더라도 한국의 택배서비스 품질은 전 세계 최고 수준이며, 가격 또한 너무나 저렴합니다. 굳이 인프라에 대한 높은 고정비를 투자하고 물류를 내재화할 이유가 없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몇몇 업체들을 중심으로 물류를 내재화하는 현상이 업계 전반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너무나 잘 알려진 쿠팡의 ‘로켓배송’을 시작으로 허니비즈(띵동), 배민라이더스, 크린바스켓, 짐카, 헬로네이처, 마켓컬리는 모두 직접물류를 운용하고 있는 유통, O2O서비스 스타트업입니다.
 
이런 업체들이 직접물류를 운용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는 3PL업체들이 그들이 원하는 만큼의 서비스를 제공해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가령 택배업체가 쿠팡과 같은 ‘감성배송’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없으며, 마켓컬리와 같은 ‘새벽배송’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도 없습니다. 그들이 원하는 수준의 고객접점 서비스를 만들어내기 위해 자연스럽게 물류 내재화를 결정했다는 것이 앞서 언급된 업체들의 설명입니다.
 
두 번째는 물류를 통한 규모의 효율화입니다. 쿠팡이 건당 8000원 수준의 로켓배송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 일정 숫자 이상의 물량이 나와서 규모의 경제를 구축한다면 직접물류가 택배 아웃소싱에 비해 저렴해지는 순간에 도달합니다. 쿠팡이 최근 물량확충에 사활을 거는 이유이기도 하며, 배민프레시 같은 경우에는 이미 지난해 택배 서비스 아웃소싱 이상의 물류 효율화를 달성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직접물류는 절대적인 추세일까요?"
 
아닙니다.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사실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던 모든 업체들은 서비스 전 지역에 대해 직접배송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핵심 지역에 대한 직접배송, 그리고 나머지 지역에 대한 아웃소싱을 병행하고 있지요.
 
쿠팡은 로켓배송 품목에 한정하여 ‘직접배송’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배민프레시, 헬로네이처, 마켓컬리와 같은 신선식품 커머스 또한 서울, 경기 등 일부지역에 한정하여 직접배송 서비스를 제공해주며, 나머지 지역에 대한 배송은 택배업체 아웃소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배민라이더스, 푸드플라이, 띵동 같은 온디맨드 배달업체들 역시 라이더를 직접 고용, 운용하고 있지만 그들이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은 ‘전국구’가 아닌 ‘서울 일부지역’입니다.
 
결국 직접물류의 핵심은 LBS(Local Based Service)입니다. 가령 고객 주문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지역은 더욱 높은 서비스 품질을 위해 물류를 내재화할 이유가 충분합니다. 해당 지역에 한해서는 물류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것 이상의 규모의 경제를 만들어낼 수도 있지요. 반면 서비스 수요가 적은 지역에 대해서는 굳이 높은 고정비용을 투자하고 물류를 할 이유가 없는 것입니다. 직접물류를 하고 있는 많은 스타트업들은 이것을 린(Lean)하게 실험하고 있는 것이지요. 충분한 수요가 나오지 않았던 인천 지역 서비스를 철수한 크린바스켓의 사례가 대표적이며, 강남권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는 수많은 온디맨드 스타트업들이 그것을 반증합니다.
 
결국 직접물류가 옳은가, 아웃소싱이 옳은가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필요한 지역’에 한해서 유연하게 물류 내재화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실험이 필요함은 물론입니다. 마지막으로 김슬아 마켓컬리 대표의 말을 인용합니다. 마켓컬리는 서울, 경기 지역에 한해서 직접 물류망을 구축, 운용하고 있는 신선식품 커머스 스타트업입니다.
 
엄기자 : 마켓컬리는 상품배송에 있어 택배와 직접배송(샛별배송)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웃소싱과 직접배송 중 어떤 방법이 궁극적으로 옳다고 생각하시나요?
 
김대표 : 직접물류를 구축하고 있는 모든 스타트업들은 직접 배송망이 경제성을 갖추는 시점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마켓컬리는 현재 서울, 경기 지역에 한해서 직접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경제성을 확보했지만 사실 경기 일부지역은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것 이상의 경제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고객수요가 올라가는 속도나 인구밀집도가 나오지 않는 지역과 같은 경우는 추후 직접배송이 아닌 ‘아웃소싱’ 전환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지속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부산’ 지역 같은 경우는 아웃소싱이 아닌 ‘직접배송’ 전환을 검토하고 있음은 물론입니다.
 
결국 직접배송이 옳은가, 혹은 간접배송이 옳은가에 대한 질문에 정답은 없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직접 운영하는 물류 서비스의 영속성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진입 초기에는 해당 지역에 대한 가능성을 가정하고 시장에 진입하고, 그 이후는 그 가정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이 됩니다. 영원히 효율성이 안 나올 것 같은 지역에 대해서는 당연히 직접물류를 할 이유가 없겠지요.


엄지용 기자

흐름과 문화를 고민합니다. [기사제보= press@clomag.co.kr] (큐레이션 블로그 : 물류로 세상보기)




다음 읽을거리
추천 기사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