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T

녹색물류는 목숨 걸어야 할 SCM 트렌드

by 김철민 편집장

2009년 12월 30일

윤현기 삼성테스코 상무


“앞으로는 녹색 물류 시대입니다.

요즘 온실가스 감축 등 녹색 물류를 실천하는 움직임이 많습니다만, 우리나라는 이미 늦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목숨 걸고 나서지 않으면 안될 것입니다”


윤현기 삼성테스코 상무(SCM 본부장)는 기업의 녹색 물류 인증에 대한 의견을 물으니 진지하게 답했다.

세계적인 환경 보호 움직임에 기업이 빠질 수 없다는 것. 밀레니엄 시대 이전까지 기업은 환경 파괴의 주범이었지만, 성장을 위해 어쩔 수 없던 면도 있다.

환경을 파괴해서 덕을 본 건 파괴의 주범 선진국이고, 해를 본 나라는 우리가 이름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후진국이다. 선진국에선 이미 기업의 환경 보호 움직임이 자리 잡았다.

윤 상무는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고, 3년 전 한국 환경여건에 대해 지적했던 미국의 마크 레비 교수에게 “지금 선진국끼리 입맞춰놓고, 후발주자를 옭아매는 것이 아닌가?”라고 물었다.

선진국에서 아직 발전을 덜 한 그 외 나라의 성장을 막으려는 방편으로 환경을 보호하라고 압박을 가하고 있지 않느냐는 것. 레비 교수는 이렇다 할 대답을 하지 못했다.

“흐름이 이러니 늦게라도 따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해수면이 상승해 곧 사라진다는 남태평양 섬을 동정해서 그러자는 게 아닙니다. 기업차원에서도 탄소배출권을 확보하지 못하면 기업의 생사가 갈릴 수 있습니다”

기업이 탄소를 얼만큼 배출했는지 공인된 인증을 통해 확보하지 않으면, 외국에서 탄소배출권을 사다 써야 할지도 모른다는 것.

특히 온실가스 배출과 직결된 물류업계에는 큰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 국토해양부가 녹색 물류기업으로 인증되면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담긴 물류정책기본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등 녹색 물류는 국가 차원의 문제다.

삼성테스코의 기업 경영 핵심 가치가 환경 경영이다. 2013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친환경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2년까지 물류부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2006년 대비 50%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실제로 삼성테스코는 2006년부터 차량 한 대가 움직일 때 어느 정도의 온실가스가 발생하는지를 계산했다. 현재는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신기술을 테스트를 하고 있다. 최근 이 방법으로 8톤 차가 기존 대비 19.1%, 11톤 차가 12.8%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결과가 나왔다. 아직 상품화되진 않았다. 이 기술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

“예전 목천물류센터를 만들 때 당시 점포, 부지 확보된 곳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 실제 거리, 운송 비용, 공급자 부분까지 다 따져봤습니다. 그전에 환경 경영을 선포하긴 했지만, 솔직히 지금처럼 중요성이 대두할 지는 몰랐습니다. 그때 운송비 계산하다 보니 연비도 계산했지요. ‘이 정도 비용이면 매연이 이만큼 나오겠구나’ 하고요. 지금 생각하니 소 뒷걸음 치다가 쥐 잡은 격이 된 것 같습니다”

윤 상무는 1987년 한국 P&G; 창립 때 입사, 구매 업무를 담당했다. 90년 초 P&G;가 전 세계적으로 물류유통시스템을 조직할 때 한국 P&G;에 국내 최초로 물류 전문 부서가 생겼다. 윤 상무는 이때 물류 부서에 지원해 국제물류를 담당했다. 93년 무렵 물류에 재미를 느끼고 평생 이 일을 하리라 마음을 먹었다.

윤 상무는 95년에 국내 최초로 국제 물류학 과정을 개설한 중앙대 대학원 입학했다. 그런데 신설이라 그런지 회사에서 일 하면서 배우는 것이 더 나았고, 때마침 국내물류부서를 맡게 돼 학업과의 인연은 거기서 끝나는 듯했다.

2000년 삼성테스코에 스카우트돼, 하나의 물류센터로 전체 홈플러스 점포를 지원하는 개념을 도입했고, 천안 목천물류센터가 그 결실이다. 좁은 국토, 물량 대부분이 몰리는 곳은 수도권이라는 한국만의 특징에 맞춘 것으로, 센터가 문을 열고 3년 동안은 국내외 업체 관계자들이 몰려와 물류에 한류 바람을 몰고 오기도 했다.

윤 상무는 현재 인하대 물류전문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밟는 동시에 GLMP, 대학교, 대학원, 기업 등에서 특강도 하고 있다. 윤 상무는 물류업계에서 22년을 보냈다. 계속 진화하는 물류에 대해 아직도 공부할 것이 많다는 그는 학생이자 교수이다.

 

 



김철민 편집장

Beyond me(dia), Beyond logistics
김철민의 SCL리뷰




다음 읽을거리
추천 기사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