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

[박상신의 크로스보더] 화장품 수출 AtoZ, 3조 글로벌 시장 정조준

by 박상신

2016년 09월 05일

한국 화장품, 3조 글로벌 시장 정조준
크로스보더 B2C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글. 박상신 헬로쉽 대표
 

Idea in Brief

 

한류열풍과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 화장품 선호 덕분에 화장품 수출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화장품은 2015년 기준으로 냉장고의 수출액을 넘어섰고, 국내에는 6400개가 넘는 화장품 제조판매 업체가 있다. 반면 3조 규모의 한국 화장품 수출시장은 과거 해외 전시회 참가 및 B2B무역을 통한 수출 외에 판로를 개척할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현재는 국제전자상거래의 발달로 전 세계의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거기에 더해 유튜브 같은 MCN(Multi Channel Network)의 발달로 콘텐츠의 빠른 확산도 가능해졌다. 때문에 지금은 한국 화장품으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사업을 하기에 최적의 시기라 할 만하다.

 
10조 시장에 주목하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6월 발표한 ‘화장품 생산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 총생산액은 10조 7328억 원이며, 화장품 수출액은 지난해 기준 25억 8780달러(한화 약 2조 9000억 원)로 전년 대비 43.8% 급증했습니다. 여기에 온라인을 통해 해외로 판매되는 화장품이 무역통계에 잡히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한국 화장품의 해외 판매규모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화장품 수출 증가의 원인은 중국소비자들이 자국 생산 화장품을 불신하고, 한국 화장품을 선호하는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해외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을 선호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한국 화장품이 유럽과 일본 브랜드들보다 저렴하면서도 품질은 우수한 '가성비'를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화장품 수출, 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인가
 
그러나 각국에서 시장성을 인정받는 한국 화장품의 수출 방식은 아직까지 옛날 방식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실정입니다. 여전히 대부분의 한국 화장품 제조기업들은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정부지원의 수출상담회나, 해외 전시회 참가 등을 통한 수출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한국 화장품은 브랜드 파워가 부족하기 때문에, 바이어 입장에서는 일정 수량만 수입해서 유통을 시도해보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여기에 더해 화장품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증이나 허가 절차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더더욱 첫 거래를 어렵게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화장품 업체들은 ‘크로스보더 이커머스’를 주목해볼 만 합니다. 필자는 화장품이 그 특성상 크로스보더 이커머스를 통한 B2C판매에 최적인 아이템이라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① 상품 측면
 
의류, 신발 같은 한국 패션상품의 경우 계절로 인한 판매 시즌의 문제가 있고, 사이즈 문제로 유럽과 아시아에 같은 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화장품은 그런 부분이 없습니다. 동대문 의류의 경우, 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재고를 보유하고 판매하기가 어려운 점 등으로 인해 대규모 투자를 하지 않으면 크로스보더 이커머스로 성공을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나 화장품은 재고관리가 용이하고 상품의 소싱도 상대적으로 쉬운 편입니다.
 
② 통관 측면
 
화장품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위 말하는 ‘수입요건’이 있는 품목입니다. 판매목적의 수입시에는 국가별로 정해진 절차에 의해 인증이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어떤 나라에서는 이러한 절차가 1년이 걸리기도 합니다. 유행이 빠르게 변하며, 다양한 아이템이 출시되는 요즘 트렌드에 이와 같은 개념은 맞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 개인 사용목적으로 수입하는 ‘B2C 통관’의 경우에는 간소화된 절차로 통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허가나 인증 없이 판매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수입허가가 까다로운 일본의 경우에도 화장품에 대해 1회 구입시 24개까지 개인통관이 허용됩니다. 전자상거래 거래인 경우 약 1만 6666엔까지 면세가 적용되니 대부분의 한국 화장품은 일본으로 면세 판매가 가능한 셈입니다. 거기에 더해 한국 화장품은 가격이 저렴한 편이기 때문에, EU나 태국 같이 면세한도가 낮은 국가에도 면세로 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③ 배송 측면
 
화장품은 보통 낱개 포장 무게가 500g을 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렴한 국제우편을 사용하는 배송전략이 가능합니다.
 
▲ 스트로베리넷 홈페이지
 
한국 여성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는 홍콩의 온라인 화장품 판매 사이트 스트로베리넷(strawberryNET.com)은 전세계에 300만 명의 회원이 존재하며 연간 약 2억 달러를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트로베리넷은 홍콩에서 전세계로 화장품을 배송하는데요. 주로 국제 우편물을 이용하여 30달러 구매시 전세계 무료 배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유럽처럼 세금발생이 빈번한 국가들은 세금 선납 조건(Prepaid VAT)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국제물류 전략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역직구몰을 위한 제언
 
크로스보더 이커머스를 활용한 화장품 B2C 수출은 위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화장품을 전세계로 경쟁력 있는 상품가격, 국제배송 서비스로 판매하는 회사들이 아직은 국내에 많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해외의 소비자들은 1차적으로는 아마존, 이베이 등을 통해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하고, 그 사이트에 없는 상품은 불편하지만 지마켓, 11번가에 와서 구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성공적인 화장품 역직구몰을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이 필요할까요?
 
첫째, ‘중국 시장 올인’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중국은 화장품 관련 세율이 높고 각종 규제로 크로스보더 판매가 쉽지 않은 국가입니다. 중국시장이 크다고 하지만, 한국과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보따리 무역’과 ‘밀수’ 등을 통한 거래도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큽니다. 또한, 중국내의 이커머스 시장은 대형 B2C 플랫폼 중심으로되어 있기 때문에 ‘티몰’ 등을 통하지 않고 독자적인 쇼핑몰을 구축해서 성공하기는 너무도 어려운 일입니다.
 
사실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채널은 너무도 많습니다. 그러나 동유럽과 중남미에서는 이베이를 통하지 않고서는 유튜브에서 본 한국 화장품을 구입할 방법이 없습니다. 이러한 시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기획해야 합니다.
 
둘째, 복수의 배송옵션을 활용해야 합니다.
 
기본 배송방법은 국제우편물로 하되, 화장품 B2C통관이 되는 국가들은 빠른 배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활용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전세계 우편 무료 배송을 제공하면서, 일부 국가들은 B2C 특송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B2C 특송으로 공략할만한 국가들은 일본, 호주, 홍콩,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유럽, 미국 등이 있습니다. 브라질 같이 통관이 불투명하고 어려운 나라는 우편물로 30달러 이하 상품만 판매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셋째, 마켓플레이스 판매를 지양해야 합니다.
 
대형 뷰티 커머스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다보니, 대부분의 한국 화장품은 외국의 플랫폼을 통해서 해외로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아마존, 이베이, 라자다, 큐텐, 11번가 말레이시아, 타오바오, 엔소고 등이 한국 사업자가 판매할 수 있는 외국 플랫폼들입니다. 이들 플랫폼에서의 화장품 판매는 플랫폼만 수수료로 배부르게 하고 정작 한국 판매자들은 판매자들 간 치열한 가격경쟁으로 수익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배송정책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국제우편배송으로 판매 등이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게다가 배송지연으로 인한 클레임시 계정이 정지되는 것과 같은 위험요소 또한 존재하지요. 여기에 더해 상품별 무게를 계산해서 배송비를 계산하는 것과 같은 세밀한 설정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익스프레스 배송을 사용하기는 매우 힘듭니다.
 
결국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반짝 붐으로 끝나지 않고 전세계로 퍼지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스트로베리넷처럼 전세계를 타겟으로 하는 사이트가 나타날 필요가 있습니다. 과거와 비교해서 국제배송, 국제결제, 쇼핑카트 등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조건들이 좋아진 만큼, 화장품 수출산업에서 우수한 스타트업들이 등장하여 큰 성공을 거두기를 기대해 봅니다.


박상신

삼성물산 상사부문, 지마켓 해외사업팀, 큐텐재팬을 거쳐 B2C 국제물류 스타트업 헬로쉽을 창업했다. 여러 회사에서 해외배송, 글로벌셀러, 수출 등을 기획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 전자상거래, 국제 전자상거래 물류와 관련된 이야기를 전한다. 크로스보더 국제물류 전문 블로그 오픈카트(opencart.kr)를 2008년부터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다음 읽을거리
추천 기사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