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GHT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비즈니스모델 10選 (1)

by 민정웅

2011년 04월 30일

 

글. 민정웅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교수
 

 

 

 

[CLO] “고객은 왕이다”라는 문구는 제품의 디자인에서부 터 생산, 유통, 마케팅 등에 이르는 모든 의사결정 이 고객 중심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 미를 표현한 말이다. 다른 모든 산업이 그러하겠지 만, 특히 물류와 같은 서비스 산업에서는 이러한 고 객 중심적인 의사결정과 사고방식이 더더욱 중요 하다.


고객 중심적 사고를 위한 가장 근본적인 전제조건 이 고객을 이해하고 그들의 변화를 읽어낼 수 있는 통찰력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1994년 델컴퓨터가 최초로 인터넷을 통해 맞춤형 컴퓨터를 판매했던 때를 기억하는가? 지금은 너무 도 자연스런 비즈니스 모델로 받아들여지지만, 돌 이켜 보면 델컴퓨터의 비즈니스 모델은 제조업의 개념을 제정의 했을 뿐 아니라, 제조업을 고객으로 하는 물류산업에도 새로운 성장과 발달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고객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기업 은 새로운 기회를 상실하는데 그치지 않고, 심한 경우 기업의 존폐에 막대한 영향을 준 사례를 우리는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에서 는 2회에 걸쳐 인터넷상에 새롭게 등장한 비즈니스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들 신규 비즈니스 모델 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이 물류관점에서 갖는 새로 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내일의 전략을 고 민하는 기회로 삼는 것은 나름 의미 있는 일일 것 이다.
미국의 Board of Innovation에서 선정한 2010년을 뒤흔든 10가지 비즈니스 모델 중 5가지를 지금부터 살펴보자.

 

 

 

옛말에“병은 숨기지 말고 소문내라”는 말이 있다. 건강에 이상이 있을 때 병에 대한 이야기를 주위사람과 공유함으로써 그 질병을 잘 치유 할 수 있는 방법과 의료기관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 이다. 이러한 개념을 실제 비즈니스 모델로 활용한 기업 바로 PatientsLikeMe.com이다. 이 기업은 우선 질병에 관한 개인 정보를 개인의 동의하에 수집한다. 사용자들은“병을 소문내는”효과를 이용 하여 각종 질병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과 경험을 무료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PatientsLikeMe.com은 수집된 정보를 병원이나 제약회사에 판매하고, 병원이나 제약회사는 이 정보를 그들의 마케팅 전략에 활용 하는 것이다. 제조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SCM(Supply Chain Mangement) 관련 이슈를 꼽으라하면 아마 십중팔구 고객의 수요예측 과 관련된 이슈일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 왜곡된 수요 정보는 채찍효과 를 일으켜 전체 공급사슬에 막대한 비용과 비효율을 야기한다. 이미 삼 성전자와 같은 기업에서는 Web Crawler를 이용하여 전 세계 각 웹사이 트에서 기록된 자사 제품에 관한 소비자의 반응과 수요를 수집하고는 있지만, 신뢰성 있는 고객의 니즈와 수요를 이해한다는 관점에서 PatientsLikeMe.com의 메커니즘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웹상에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내용의 콘텐트에 대해 가격을 매긴다면 얼마가 적당할까? 많은 인터넷 상의 콘텐트는 이미 무료이지만 아직도 일부 언론사 나 리서치 기관의 경우 고급 콘텐트를‘구독’의 형태 로 구입하게 하고 있다. 구독을 한다는 것은 일정기간 동안에 일정금액을 지불하고 콘텐트 제공자가 제공하는 모든 내용을 읽 을 수 있는 권리를 사는 것이다. 이러한 모델의 경우 한 가지 문제점은 구독료 안에는 사실 사용자가 원치 않은 콘텐트에 대한 비용까지 포함된다는 것이다. 마치 일식집에서 코스메뉴를 주문할 경우 식사비 용안에 좋아하지 않은 음식의 가격까지 포함되는 원 리와 유사하다. Flattr.com은 흡사 회전 초밥집에서 와 같이 사용자가 좋아하는 음식에만 비용을 지불하 는 개념을 이용한 것이다. 사용자는 본인이 구독하는 다양한 콘텐트 중 본인이 좋아하는 콘텐트에 한하여 “Flattred”라는 버튼을 누른다. 마치 페이스북의“좋 아요”와 같은 형식이다. 사용자는 자신이 누른 버튼의 수에 비례하여 월별 구독료(이 회사에서는 이를 donation이라 부른다)를 내고, 콘텐츠 원작자는 이렇게 받아진 구독료의 90% 를 가져가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물론 Flattr.com은 10%의 수수료를 수익으로 챙긴다. 최근 국제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위키리크스의 한 콘텐트는 3500번 이상의“Flattred”를 받은 경우 도 있다고 한다.

 

 

 

 

2000년대 초 온라인 음악 콘텐트 시장의 가장 큰 화제는 P2P를 기반으로 한 냅스터의 등장과 곧 이은 음반협회와의 법정소송일 것이다.? 저작권 관련 문제로 인해 현재는 iTunes와 같은 유 료모델이 대세이다. 하지만 사라져간 냅스터의 무 료 모델을 다시 부활시킨 것이 Spotify.com이다. Spotify는 사용자가 광고주의 광고에 노출되게 하는 대신 디지털음원을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사 이트 운용과 음악저작권에 관련된 비용은 광고주의 광고비용으로 충당한다. 또한 월 9.99유로의 비용으로 프리미엄 서비스를 선택한 사용자는 광고 없이 음악을 즐길 수 있다. 2010년 현재 이들 프리미엄 서비스 사용자가 이미 75 만명을 넘어섰으며, 스웨덴의 SONY BMG의 경우 2010년 8월 한 달 동안이긴 하지만 iTunes보다도 Spotify에서 보다 큰 매출을 올린 것으로 밝혀졌다. 디지털 큰텐트의 흐름을 다루는 디지털 SCM은 단순히 콘텐트의 유통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이들 콘텐트를 소비하는 디바이스 시 장의 SCM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 애플의 iTunes와 AppStore가 iPod 및 iPhone의 SCM관리에 사용되는 것이 디지털 SCM을 활용한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Groupon은 국내에도 크게 인기를 끌 고 있는 티켓몬스터의 원조 비즈니스 모 델이다. 한마디로 Groupon을 정의하면 할인쿠폰 공동 구매대행회사이다.


Groupon은 각 지역별로 1일 1지역의 1개 업체에게 최소 쿠폰이용 고객을 보장 하고, 쿠폰을 받은 고객은 이를 이용하여 해당 업체에게서 할인을 받는다. G roupon은 이에 대한 대가로 쿠폰발행 업체서 발생한 매출의 50%를 수익으로 받는다. 미국의 의류 브랜드인 GAP사의 경우 Groupon을 이용하여 하루에

 

 



민정웅

필자는 현재 인하대학교 아태물류학부 및 물류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으로 정석물류통상연구원 부원장을 겸직하고 있다. 역-저서로는 ‘미친 SCM이 성공한다(2014, 영진닷컴)’, ‘물류학원론’, ‘공급사슬물류관리’, ‘물류기술과 보안의 이해’등이 있다. IT 및 Operation 컨설턴트로 활동했던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공급사슬관리, 물류정보시스템, 물류보안, SCM과 소셜네트워크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다음 읽을거리
추천 기사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